지방분권과 국제자유도시 추진을 위한 공무원의 능력과 전문성 향상 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6 13:57
본문
Download : 지방분권과 국제자유도시 추진을 위한 공무원의 능력과 전문성 향상 방안.hwp
부단체장은 일반직 공무원이기는 하나…(생략(省略))
,인문사회,레포트
지방분권과국제자유도
지방분권과 국제자유도시 추진을 위한 공무원의 능력과 전문성 향상 방안에 대해 조사한 reference(자료)입니다. 지방분권과국제자유도 , 지방분권과 국제자유도시 추진을 위한 공무원의 능력과 전문성 향상 방안인문사회레포트 ,
다. 능력위주의 교육훈련체제 구축 ....................... 50
라. 자기규율적 인사행정 확립 ............................... 54
마. 시민(Citizen)참여의 수용성 강화 ................................... 57
제4장 결 논 ..................................................................... 59
참고 문헌
부록
주요 보직의 인사에 지방의회가 참여토록 하는 것도 인사 합리성을 확보하는 대안이 될 수 있따 대표적인 방법이 지방자치단체에도 인사청문회를 도입하는 것이다. 인사청문회는 주요 보직의 임명에 의회의 동의를 받도록 함으로써 단체장으로 하여금 인사를 신중히 하도록 하고 의회는 인사에 대한 자치단체장의 부담을 나누어 맡도록 하는 결과 가 있따 그러나 반면에 주요 보직의 인사가 정쟁에 휘말리게 될 위험도 있으므로 대상 직위의 선정에는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현재의 직제상으로는 부단체장이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설명
지방분권과 국제자유도시 추진을 위한 공무원의 능력과 전문성 향상 방안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지방분권과 국제자유도시 추진을 위한 공무원의 능력과 전문성 향상 방안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Download : 지방분권과 국제자유도시 추진을 위한 공무원의 능력과 전문성 향상 방안.hwp( 25 )






목 차
제1장 서 논 ...................................................................1
제2장 이론(理論)적 고찰 ..................................................... 4
제1절 지방분권의 의미 ........................................... 4
제2절 지방공무원의 역할과 능력 ........................ 6
1. 지방공무원의 역할 ............................................6
가. 정책개발 ................................................................ 6
나. 정책추진 ............................................................... 6
다. 6급 이하 공무원의 실무능력 ........................... 25
라. 공무원 능력개발 저해요인 ............................... 30
마. 공무원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improvement 여부...... 39
제2절 improvement방안(方案) ............................................................. 40
1. improvement방향 ................................................................. 40
2. 지방공무원의 전문성 향상과 능력개발 방안(方案)..... 41
가. 자치인사권의 확대 ............................................. 41
나. 성과지향적 인사관리체제 구축 ....................... 43
다. 문제해결 ................................................................ 7
라. 주민의사 수렴 ..................................................... 7
마. 정보·서비스 제공 ............................................. 8
바. 이해관계 조정 ..................................................... 8
2. 지방공무원의 능력 ............................................ 9
가. 5급이상 공무원의 업무수행능력....................... 9
나. 6급이하 공무원의 실무능력 ............................. 13
제3장 상황分析 및 improvement방안(方案) .............................. 17
제1절 상황分析 ............................................................. 17
1. 상황分析을 위한 조사실시 ............................ 17
2. 상황分析 결과........................................................ 18
가. 제주도 공무원의 역할 ....................................... 18
나. 5급 이상 공무원의 업무수행능력 ................... 19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