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18:35
본문
Download : 한국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hwp
7차교육과정에관한 , 한국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사범교육레포트 ,
7차교육과정에관한
한국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대해 쓴 글입니다.한국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대해 쓴 글입니다.
,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한국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hwp( 67 )
설명
한국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



레포트/사범교육
순서
① 8·15광복 후 미군정청 학무국에서 교수요목을 제정하여 교과서를 편찬하여 쓰던 교수 요목시대(1946~1954년)
▷ 교과중심 교육과정 + 경험주의 교육과정이 혼재, 언어수행·가치관 중시
② 政府(정부)수립과 6·25전쟁이 끝난 후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따라서 신교육이 강조된 1955년의 1차 교육과정 개정 또는 교과과정시대
▷ 교과중심 교육과정 - 교육과정이 체제를 ‘목표(goal)-학년목표(goal)-지도내용-지도상의 유의점’ 으로 체계화
③ 5·16군사정변 후 민족주체성과 경제발전이 강조된 1963년의 2차 교육과정 개정
▷ 경험중심 교육과정 - 한문, 교련 신설
④ 학문중심의 교육과정에 따라 산업화사회에서의 국민의 자질함양과 인간교육을 강조한 1973년의 3차 교육과정 개정
▷ 학문중심 교육과정 - 가치관 교육의 강화
- 도덕, 국사, 일본어 신설
⑤ 경제 제일주의로부터 복지사회와 정이사회의 실현이라는 방향에서 제5공화국의 출범과 함께 실시된 1981년의 4차 교육과정 개정
▷ 기능 중심의 교육원리 도입 - 가치관 중심 교육의 반성
- 학문적 배경을 갖춘 교육과정 추구
- 국민정신 교육 강조
- 학습량 수준 축소 조정
- 국민학교 1·2학년 교과 통합 운영
- ‘지도상의 유의점’ →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 改善(개선)
⑥ 고도산업화, 국제관계의 다원화, 평화통일 등에 대한 대응으로 실시된 1987년의 5차 교 육과정 개정
▷ 학생중심, 과정중심의 국어교육관 도입 → 교수학습 상황의 주체를 학습자로 봄
- 언어…(省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