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aser의 체제적 교수 모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1 10:41
본문
Download : Glaser의 체제적 교수 모형.hwp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1. 수업설계의 발달사
2. 수업의 기본모형
3. 특징
4. 학습에 미치는 effect(영향)
5. 장점(長點)
6. problem(문제점)
① 수업목표(goal) 설정단계
☆ 행동적 능력수준과 내용구조를 확인하여 적절한 목표(goal)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② 투입(출발점)행동 진단단계
☆ 수업목표(goal)가 설정되면 이 목표(goal)에 관련된 학생들의 학습수준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진단한다.
☆ 출발점 행동의 진단 대상은 선행 학습의 정도, 적성, 지능 등과 같은 인지적 요인과 학습자의 동기,
요구, 자신감, 학습 습관, 흥미, 태도, 자아槪念과 같은 정의(定義)적 요인이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학습결
과의 평가에 중요한 effect(영향) 을 미친다.
☆ 도착점행동으로 說明(설명) 된다
☆ 학습목표(goal)와 교수-학습 내용이 주 관건이 된다 즉 어떤 교수-학습 활동을 할 것인가?, 무엇을 평
가할 것인가?` 이 두 가지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 수업 목표(goal)를 학습자에게 어떤 순서에 따라 어떤 방법으로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이고, 미진한 부분
이나 보완할 부분에 대한 적절한 조치…(To be continued )
,의약보건,레포트
순서
Glaser의 체제적 교수 모형


본 자료(data)는 Glaser의 체제적 교수 모형에 대해 요점한 리포트입니다.
☆ 학습지도 장면을 말하는 것으로 가네의 수업 사상과 같은 槪念이다.
Download : Glaser의 체제적 교수 모형.hwp( 49 )
Glaser체제적교수모형97문서
본 자료는 Glaser의 체제적 교수 모형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
☆ 수업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고, 학습지도 방법을 결정해 주고 학습평가의 기준이 된다
☆ 학습자 행동 變化(변화)를 객관적 측정(測定) 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이고 행동적인 수업목표(goal)로 진술되어야 한다.
☆ 실시 결과 학습결손이 발견되면 이에 대한 대처가 뒤따라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교수-학습은 목표(goal)
를 달성할 수 없게 되고 학습자의 학습에 대해 부정적 槪念을 형성하게 된다
③ 수업의 실제
☆ 교사가 학습자에게 직접 가르치는 과정이다.
☆ 출발점 행동이란, 학습Task 를 학습하기 이전에 학습Task 와 관련된 기본적으로 이미 습득했어야만
하는 행동特性(특성)이다.
☆ 교수 및 학습 방향의 결정, 수업 내용과 절차의 선정과 조직, 계열화에 대한 지침, 그리고 수업과정
과 학업 성취도 기준 등의 기능을 발휘해 준다.Glaser체제적교수모형97문서 , Glaser의 체제적 교수 모형의약보건레포트 ,
다.
☆ 학습자의 종합적 진단을 통해 학습자의 준비성 및 새로운 수업 참여의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고 이
에 적절한 수업절차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