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 지역학습 교재개발의 지역적 적합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8 12:04
본문
Download : 사회과 지역학습 교재개발의 지역적 적합화.hwp
사회과 지역학습 교재개발의 지역적 적합화






다.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up사회과지역학습교재개발의지역적적합화
사회과 지역학습 교재개발의 지역적 적합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지역학습은 국가 교육정책의 기본 방향에 부응하는 한편, 통합 사회과의 내부 고민을 해결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므로 사회과교육 연구의 核心 영역으로서 천착될 필요가 있다
사회과에서 지역학습에 관한 연구는 주로 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진척되어 왔고 중등사회과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물론 중등사회과의 경우에도 향토 단원을 설정하여 지역학습을 나름대로 추구하고 있으나, 해당 지역과 관련한 내용보다는 주로 향토 조사와 관련한 일반적 절차를 introduce하는 것에서 그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앞으로…(생략(省略))
순서
사회과 지역학습 교재개발의 지역적 적합화에 대한 資料입니다.
제7차 교육과정기 현재, 초등사회과에서는 『사회과 탐구』 지역 교과서가 개발되어 4학년 1학기 교육과정에서 부교재로 투입되고 있다 그러나, 초등사회과의 지역 교과서 활용은 내용 목차가 전국적으로 획일적 구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소극적 의미의 지역화라 볼 수 있다 중등사회과에서는 아직 표준 지침이나 지역 교과서가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그나마 지역학습과 성격을 달리하는 ‘지역지리 교육’ 혹은 ‘지역에 관한 학습’과 흔히 혼돈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up사회과지역학습교재개발의지역적적합화 , 사회과 지역학습 교재개발의 지역적 적합화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사회과 지역학습 교재개발의 지역적 적합화.hwp( 30 )
Ⅰ. 머리말
Ⅱ. 지역적 적합화의 theory(이론)적 과정
1. 스트랜드(strand)의 의미와 비중 조절 방법
2. 스트랜드 통합에 의한 주제 추출의 논리
Ⅲ. 교재개발의 실제에 대한 검토-경남산청과 충남서산의 지역학습 事例(사례)로-
1. 내용요소의 지역적 discrimination성
2. 주제의 지역적 적합화
3. 지역적으로 적합화된 내용조직의 예시
Ⅴ. 맺음말
〔Reference List〕
Ⅰ. 머리말
오늘날 한국 사회과에서는 지역학습의 교과교육학적 의미를 두 가지 차원에서 바라보고 있다 하나는 ‘교육과definition 지역화’라는 시선에서 학습자가 일상 경험하는 주변지역을 제도 교육의 범주로 담아내는 영역의 차원이고, 다른 하나는 지리, 歷史(역사), 일반사회의 경합 상황을 해소해 보려는 맥락에서 사회과 영역 통합을 위한 實驗장으로서의 차원이다. 연구 주제에 있어서 지역학습의 가치 및 必要性, 교과서 내용 analysis, 내용구성의 논리와 준거,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 주류를 이루어 왔고(김용만, 1986; 서재천, 1987; 김영석, 1994; 권혁풍, 1995; 황홍섭, 1995; 남상준, 1996; 박승규·심광택, 1999; 남호엽·김일기, 2001; 전종한, 2002a; 2002b; 조성욱, 2002), 보다 현실적 과제課題인 교재개발 전략(戰略) 에 관한 것이 극히 미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