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생산과 두 노조의 대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06:36
본문
Download : 린생산과 두 노.hwp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라인의 속도를 증대시키고, 노동자들의 지식을 획득하며,
1. 린생산의 확산
III. 두 노조의 책략
다. 린생산 모델에서는 노동자들을 경영에 의해 지도되는 ‘팀 체제’와 ‘improvement(개선)’(Kaizen) 과정에 동원함으로써 노동자들의 전인격적 헌신을 요구한다.
Download : 린생산과 두 노.hwp( 75 )
IV. 노조에의 influence(영향)과 노사관계의 change(변화)
V. 결론
2. 노조에의 도전
3. UAW의 대응: 방어적 협력
1. 린생산의 확산
린생산의확산과 노조에의도전 린생산과 두 노조의대응 자동차노조의대응과 분열 작업장 모델의다원화 / (린생산과 두 노조의 대응)
2. 자동차노조의 대응과 분열
린생산의확산과 노조에의도전 린생산과 두 노조의대응 자동차노조의대응과 분열 작업장 모델의다원화
70년대 후반부터 북미지역의 자동차산업과 노동자들은 대량생산 체제와 포디즘적 노사관계 전반에 influence(영향)을 미치는 근본적 위기에 직면하였다. 린생산 모델을 지향하는 회사들은 채용 단계에서부터 노동자들에 대한 철저한 스크린을 실시하고, 체계적인 교육훈련들과 다양한 ‘작업장 의식들’(factory rituals)을 통해 노동자들을 조직에 몰입시키고 문화적인 동질화를 시도한다. 이 위기의 주요한 원인은 자동차 생산 및 시장의 급속한 국제화와 일본의 자동차 메이커들에 의해 발전된 새로운 생산 방식의 도전에서 찾아질 수 있다(Elger and Smith, 1994; Yanarella and Green ed., 1996). 70년대부터 북미지역의 자동차시장을 크게 잠식해 온 일본계 자동차 메이커들은 80년대에 들어서면서 자신들의 공장과 생산 시스템을 북미지역에 직접 이식하기 처음 하였고, 빅스리를 비롯한 기존의 자동차 메이커들도 기존 공장들을 비롯한 새로운 공장들에서 린생산 모델과 관행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던 것이다(Womack and Jones, 1990; Abo, 1994; Kenney and Florida, 1993).
II. 린생산의 확산과 노조에의 도전
린생산과 두 노조의 대응: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노조를 중심으로
레포트 > 기타
1. 노사관계의 배경
순서
1. UAW의 대응과 한계
설명
린생산의확산과 노조에의도전 린생산과 두 노조의대응 자동차노조의대응과 분열 작업장 모델의다원화 / (린생산과 두 노조의 대응)
3. 작업장 모델의 다원화
4. CAW의 대응: 적극적 반대와 비판적 개입
2. CAW의 대응과 한계





린생산과 두 노조의 대응
I. 문제의 제기
린생산 모델의 노사관계는 지금까지 미국계 자동차 메이커들이 유지해 왔던 포디즘적 노사관계와는 커다란 差別(차별) 성을 지니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