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영] 非아랍·이슬람국가 / 現代 中東經濟의 理解 1997. 7 朱 東 柱 ( 산업 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6:10
본문
Download : 非아랍·이슬람국가.hwp
現代 中東經濟의 理解 1997. 7 朱 東 柱 (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
現代 中東經濟의 理解 𠎝. 7 朱 東 柱 (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 Ⅰ. 중동지역의 개념(槪念)과 범위 (1) 용어의 개념(槪念) ●중동(Middle East) 근동(Near East) 또는 오리엔트(Orient) 등의 단어와 같은 뜻으로 쓰임. 지리적인 개념(槪念)(서남아시아 + 북아프리카)을 일차로 하면서 정치·역사(歷史)·문화를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개념(槪念)임. ●아랍(Arab) 아랍어를 사용하는 아랍민족을 지칭하는 개념(槪念)임. 이들은 과거 大帝國을 이루었으나 현재 22개의 독립국가로 나뉘어 있음. ●이슬람(Islam) 유일신 알라를 믿는 종교에 기반을 둔 개념(槪念)임. 인도네시아·말레이지아 등은 非중동·非아랍국가이면서 이슬람권에 속함. (2) 중동의 범위 ●중동의 범위는 사용자에 따라 다르며 일치되는 바가 없음. 그러나 대체로 메소포타미아와 이란, 아라비아반도, 북아프리카의 이집트·리비아 등까지는 공통적으로 포함됨. ●보통 차이가 나는 점은 파키스탄·터키·모리타니·수단 등을 중동에 넣을 것인가 아닌가의 문제임. ●중동의 범위와 특징을 일반화하면 ①지리적으로 서남아시아에서 북아프리카에 걸쳐 ②종교적으로 이슬람교가 다수 ③민족적으로 아랍민족이 다수인 지역이라고 할 수 있음. ●중동지역의 국가들을 민족과 종교적 특징에 따라 그룹화 해보면 다음과 같음. ) 아랍·이슬람국가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아랍에미리트연합· 카타르·바레인·오만·이라크·요르단·시리아·팔레스타인·레바논·이집트·리비아·알제리·예멘·모로코·튀니지·수단 (18개국)) 非아랍·이슬람국가 이란(페르시아민족)·터키(터키민족) (2개국) ) 非아랍·非이슬람국가 이스라엘(유태민족) Ⅱ. 중동경제의 구조와 특징 (1) 높은 석유산업 의존도 ●중동지역은 세계의 주요 산유국이 밀집해 있어 석유산업에 대한 경제의 의존도가 매우 높음. ●산유국들의 총수출에서 석유가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대부분의...
경제경영 非아랍·이슬람국가 / 現代 中東經濟의 理解 1997. 7 朱 東 柱 산업 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現代 中東經濟의 理解 1997. 7 朱 東 柱 (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
Download : 非아랍·이슬람국가.hwp( 36 )
순서
설명
[경제경영] 非아랍·이슬람국가 / 現代 中東經濟의 理解 1997. 7 朱 東 柱 ( 산업 연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