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文化] 학생회와 포스트모더니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8:29
본문
Download : 학생회와포스트모더니즘.hwp
학생회를 ‘학생평의회’나 ‘학생자치연합’으로 대체하는 제안이나 ‘학생회 무용(해체)론’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다. 이는 ‘총체성’, ‘보편성’, ‘중심’과 같은 근대적인 이상을 거부하는 포스트모더니즘과 닮아 있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던 조직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80년대 중반 이후의 학생회는 한마디로 ‘조직적으로 투쟁하기 위해 잘 짜여진 조직’이이었다. 우리는 여기에 입각한 조직론을 ‘근대적인(modern) 학생회조직론’이라고 부를 수 있따 근대적 사유에서는 인간의 무한한 능력이 세계의 진리를 올바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歷史는 하나의 goal(목표) 를 향해 진보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따 이는 중앙의 안이 결정되면, 그것의 옳고 그름에 대한 의심 없이 일순간에 가장 기층까지 전달되고, 또한 일사분란하게 집행되는 학생회의 모습과 유사성을 갖는다.
Download : 학생회와포스트모더니즘.hwp( 33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학생회, 포스트모더니즘, 학생운동, 사회문화
학생회 활동을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관시켜 접근해 본 글입니다.
순서





반면, 학생회질서로 환원되지 않는 여러 가지 이질적인 흐름에 주목하는 새로운 조직론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 견해들은 학생회중앙권력을 중심으로 힘을 모아 나가는 방식을 거부하고, 각 개인들 및 집단들의 자발성에서 나오는 이질적인 흐름들에 주목한다.
[사회文化] 학생회와 포스트모더니즘
학생회 활동을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관시켜 접근해 본 글입니다. ‘전국중앙-지역-지구-총학-단대-과’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조직체계(전대협, 한총련)를 만든 것은 바로 독재정권에 맞선 조직적 투쟁을 전개하기 위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