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 [인문] 60~70년대 김기영 영화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12:41
본문
Download : [인문] 60~70년대 김기영 영화의 특징.hwp
훈련병들에게서는 전쟁에 대한 두려움은 전혀 찾아볼 수가 없으며, 훈련을 통해 충실한 황군이자 전우로서 거듭 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 [인문] 60~70년대 김기영 영화의 특징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 김기영 영화 특징
순서
Download : [인문] 60~70년대 김기영 영화의 특징.hwp( 17 )
[인문] 60~70년대 김기영 영화의 특징
설명
[인문] 60~70년대 김기영 영화의 특징
1940년대, 조선 영화령과 국책영화
1. 영화 <병정님>
1944년에 만들어진 영화 <병정님>은 그동안 국내에 그 필름이 존재하지 않다가, 2006년 8월 china전영reference(자료)관에서 발견되어 영상reference(자료)원에서 수집했고 그 후로 관객들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훈련병들이 훈련소에서 위문공연을 감상하는 장면에서는 제작진이 동원한 한중일의 유명 연예인들이 총출동했다. 한국인 가수 마금희, 일본인 가수 히라마 분주, 한국인 바이…(생략(省略))
![[인문]%2060~70년대%20김기영%20영화의%20특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60~70%EB%85%84%EB%8C%80%20%EA%B9%80%EA%B8%B0%EC%98%81%20%EC%98%81%ED%99%94%EC%9D%98%20%ED%8A%B9%EC%A7%95_hwp_01.gif)
![[인문]%2060~70년대%20김기영%20영화의%20특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60~70%EB%85%84%EB%8C%80%20%EA%B9%80%EA%B8%B0%EC%98%81%20%EC%98%81%ED%99%94%EC%9D%98%20%ED%8A%B9%EC%A7%95_hwp_02.gif)
![[인문]%2060~70년대%20김기영%20영화의%20특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60~70%EB%85%84%EB%8C%80%20%EA%B9%80%EA%B8%B0%EC%98%81%20%EC%98%81%ED%99%94%EC%9D%98%20%ED%8A%B9%EC%A7%95_hwp_03.gif)
![[인문]%2060~70년대%20김기영%20영화의%20특징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60~70%EB%85%84%EB%8C%80%20%EA%B9%80%EA%B8%B0%EC%98%81%20%EC%98%81%ED%99%94%EC%9D%98%20%ED%8A%B9%EC%A7%95_hwp_04.gif)
![[인문]%2060~70년대%20김기영%20영화의%20특징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60~70%EB%85%84%EB%8C%80%20%EA%B9%80%EA%B8%B0%EC%98%81%20%EC%98%81%ED%99%94%EC%9D%98%20%ED%8A%B9%EC%A7%95_hwp_05.gif)
인문,~,김기영,영화,특징,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한국인 배우들도 일본어 대사로 연기했다. 영화의 주제는 직접적으로는 지원병에 대한 선전으로, 간접적으로는 개인을 버리고 대동아공영권이라는 공동체를 위해 나아가야 한다는 파시즘 이데올로기로 요약된다된다.
이 영화의 감독과 배우는 한국인이나, 각본을 비롯하여 제작진으로 일본인이 대거 참여하였다. 마을 주민들 역시 진심으로 청년과 가족들을 대한다. 영화 내용의 대부분은 청년이 훈련소에서 겪는 일로 구성된다된다.
다. 영화 속에서 그려지는 군 내부는 천사 같은 지휘관에 안락한 내무반, 입을 것, 먹을 것이 풍부한 천국 같은 곳으로 묘사된다된다.
감 독
방한준
제 작
전중삼랑
각 본
서귀원정
주 연
이금룡, 전옥
제작사
조선영화(주)
이 영화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청년은 힘든 훈련을 거치면서 황군 병사로 성장해간다.
[인문] 60~70년대 김기영 영화의 특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영화는 황군이 된다는 것이 얼마나 자랑스럽고 성스러운 일인지를 보여주는 데 주력한다. 청년은 국민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기꺼이 즐겁게 참전하며, 부모는 떠나는 자식에게서 국민된 영광을 느낀다. 요약하면 한국 청년들이 전쟁에 자랑스럽게 참전하고 부모는 전선으로 떠나가는 자식을 바라보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태평양 전쟁 중 평범한 한국인 청년인 주인공의 집으로 소집통지서가 날아든다. 훈련을 마친 한국인 병사들이 전장으로 출정하는 장면으로 끝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