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물리학 experiment(실험) - 길이 및 곡률반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3:58
본문
Download : 일반물리학 실험 - 길이 및 곡률반경.docx
내경과 외경을 한 사람씩 측정을 한 뒤에 mean or average(평균) 값을 구하고 표준오차를 구하여 experiment(실험)보고서에 기록하고 샤프심, 칼심 등 얇은 물체의 두께를 측정하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experiment(실험)을 진행하였다. 예를 들면, 주척이 mm로 눈금이 매겨져 있을 때, 부척은 9mm를 10등분하거나 19mm를 20등분한 것이므로 1/10또는 1/20까지 측정(測定) 가능하다.
2) 마이크로미터(Micrometer)
다른 점은 “슬리브와 싱글을 갖춘”대신에 “제1, 제2 눈금판을 갖춘”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이 experiment(실험)은 버니어캘리퍼 이용하여 길이를 물체의 길이, 구의 직경, 원통의 내경과 외경 그리고 얇은 판의 두께 등을 측정하고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얇은 물체의 두께를 측정하는 experiment(실험)이다. 이 버니어는 부척이라고도 하는데 자의 최소 눈금을 1/10 까지 또는 그 이상의 정밀도까지 읽을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3]
이 실험은 버니어캘리퍼 이용하여 길이를 물체의 길이, 구의 직경, 원통의 내경과 외경 그리고 얇은 판의 두께 등을 측정하고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얇은 물체의 두께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1]
(1)버니어 캘리퍼 : 주척에 부척을 사용하여 더 정확한 눈금을 측정(測定) 하는 기구이다. 그러면 주척과 부척의 눈금이 일치하는 곳이 생긴다.
1) 버니어 캘리퍼(Vernier Calliper)
다.
(2)마이크로미터 : 피치가 매우 낮은 나사 주위에 눈금을 새겨놓아서 360º 회전할 때마다 0.500mm (또는 1.000mm)씩 이동하고, 눈금은 50(또는 100)등분하여 0.010mm까지 읽을 수 있게 되어있다 보조 눈금 사이를 눈짐작으로 읽으면 0.001mm까지 읽을 수도 있다 [4]
설명
1939년 가스코인(영국)은 측정(測定) 기에 나사를 이용했던 데 반해 1819년경 제임스 와트(James Wat)는 구조는 뒤에 설명될 JIS의 마이크로미터 용어 설명과 거의 일치하는 측정(測定) 기를 만들었다. 내경과 외경을 한 사람씩 측정을 한 뒤에 평균값을 구하고 표준오차를 구하여 실험보고서에 기록하고 샤프심, 칼심 등 얇은 물체의 두께를 측정하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곳을 찾음으로써 물체의 길이를 측정(測定) 한다. 이 실험을 통하여 오차는 눈의 위치와 재료의 특성에 따라 접촉면에 주는 힘에 따라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소 눈금의 1/n까지 길이를 더 정밀하게 읽기 위해서 주척의 (n-1) 눈금의 길이를 n등분한 부척을 사용한다. 외경재기로 외경을 측정(測定) 하고, 내경재기로 내경을 측정(測定) 하고, 깊이재기로 깊이를 측정(測定) 한다.
버니어가 달린 캘리퍼를 버니어 캘리퍼라고 하는데 이것은 1631년 이것을 발명한 pierre Vernier의 이름을 딴것이다.
Download : 일반물리학 실험 - 길이 및 곡률반경.docx( 85 )
일반물리학 실험,길이,곡률반경
순서
일반물리학 experiment(실험) - 길이 및 곡률반경
2. theory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현대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점 더 정밀하고 다양한 물체의 측정(測定) 이 요구되었으며 이에 따라 버니어 캘리퍼, 마이크로미터 등 정밀 측정(測定) 도구들이 등장하였다. 이 experiment(실험)을 통하여 오차는 눈의 위치와 재료의 특성(特性)에 따라 접촉면에 주는 힘에 따라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