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9:54
본문
Download : [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hwp
따라서 이들 환자에 대한 적절한 재활계획의 수립과 예후를 추정하기 위하여 임상적인 분류가 필요하며, 감각 및 운동기능의 평가에 의한 국제적인 척수손상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사지마비 (tetraplegia, quadriplegia) : 목(경추)부분의 척수가 손상되는 것으로
대장 및 성 기능까지도 상실된 상태다. 이때는 몸통과 하지의 마비와 방광, 대장, 성기능들의 장애가 있게 된다
상지, 몸통, 하지의 운동 또는 감각기능이 단독 또는 함께 소실될 뿐 아니라 방광,
신경학적 기능수준이란 환자의 좌우 양측에 정상적인 감각과 운동기능을 유지하는 척수의 가장 아랫단의 분절을 지칭하며,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기능적으로 어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유용한 분류법으로 제5경수 사지마비란 제 5경수 신경근까지는 건강하고 그 아래 부위부터 손상을 입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 신경학적 기능수준 (neurological level)에 따른 분류
![[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926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E%91%EC%97%85%EC%B9%98%EB%A3%8C%ED%95%99%5D%20%EC%B2%99%EC%88%98%EC%86%90%EC%83%81%EC%9D%98%20%EB%B6%84%EB%A5%98%20%EB%B0%8F%20%EC%9E%84-9260_01.jpg)
![[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926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E%91%EC%97%85%EC%B9%98%EB%A3%8C%ED%95%99%5D%20%EC%B2%99%EC%88%98%EC%86%90%EC%83%81%EC%9D%98%20%EB%B6%84%EB%A5%98%20%EB%B0%8F%20%EC%9E%84-9260_02_.jpg)
![[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926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E%91%EC%97%85%EC%B9%98%EB%A3%8C%ED%95%99%5D%20%EC%B2%99%EC%88%98%EC%86%90%EC%83%81%EC%9D%98%20%EB%B6%84%EB%A5%98%20%EB%B0%8F%20%EC%9E%84-9260_03_.jpg)


다.
설명
척수손상을 당하는 수상부위 이하의 감각신경, 운동신경 외에 방광과 대장기능 조절하는 자율신경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다양한 임상증상을 보이게 된다.
Download : [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hwp( 55 )
척수손상을 당하는 수상부위 이하의 감각신경, 운동신경 외에 방광과 대장기능
순서
▶ 하지마비 (paraplegia) : 등뼈 이하(흉추, 요추) 부위에서 척수가 손상되는 것으로 척수원추 및 마미손상을 포함한다.
레포트 > 의학계열
작업치료학,척수손상의 분류,임상적 특징
[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
조절하는 자율신경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다양한 임상증상을 보이게 된다. 감각과 운동수준은 종종 한 환자에서도 오른쪽, 왼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몸의 한쪽에서도 서로 다를 수 있따
따라서 이들 환자에 대한 적절한 재활계획의 수립과 예후를 추정하기 위하여 임상적인 분류가 필요하며, 감각 및 운동기능의 평가에 의한 국제적인 척수손상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